top of page

윤결의『낯선 환호들: 각설이 품바와 낮은 곳의 목소리』는 각설이 품바 장르에서 활동하는 인물들과 나눈 인터뷰를 묶은 대담집이다. 각설이 전영선, 연극 〈품바〉 故김시라의 처 박정재, 연극 〈품바〉 고수 김승덕, 난장 각설이 오동팔,난장 품바 양재기, 난장 품바 아라, 난장 품바 최민, 난장 품바 설거지와의 대담 8편, 근접 장르로 연구된 드랙(drag)의 퍼포머 아장맨 및 테크노 각설이 싯시와의 대담 2편이 관련 연구글(강병우, 박예지)과 함께 수록된다. 윤결의 작품에 관한 소개와 비평을 담은 작가론(강정아, 정은영, 김화용, 박예지)은 뒷면에서 열리는 형태로 담겼다.

 

부제 ‘각설이 품바와 낮은 곳의 목소리’가 시사하듯 각설이 품바에는 기층의 삶이 담겨 있다. 옛적 거리를 집 삼아 노래하고 동냥하며 천대받던 각설이는 반은 부랑자이고 반은 예인이었다. 우리 시대의 각설이 품바는 민중의 희로애락을 걸걸한 입담과 구성진 노랫가락, 신명 나는 연주로 풀어낸다. 때로는 청중의 사연을 담은 곡조를 그 자리에서 뽑아내기도 한다. 가장 낮은 자들의 삶이 가장 낮은 곳에 있는 목소리에 담기는 것이다. 그리하여 ‘낮은 곳’이란 살갗에 맞닿아 있는 매일을, 기쁨과 고통을, 위로와 유희를 우리 모두가 공유하고 있음을 실감케하는 공간이 된다. 작가는 그 어울림 속에서 환호 소리를 듣는다. 윤결은 가난하고 병든 자들의 연대에서 각설이패의 기원을 찾고, 사회 비판 정신과 함께 전개된 각설이 품바의 현대사를 기록한다.

 

나아가 정상과 비정상으로 이분화된 질서를 넘나드는 정체성들의 향연을 발견한다. 각설이 품바는 문화 예술계와 섹슈얼리티 담론에서 이중으로 변방에 위치하기에 드랙과 성소수자를 둘러싼 논의, 중년여성의 욕망과 정체성에 대한 고정된 이해, 그리고 예술로 기록되지 않는 예술들의 문제를 동시에 드러내는 장소가 된다. 이 책은 기록 되어야 할 것과 다시 사유해야 할 것을 섬세하게 되짚으면서 각설이 품바의 오늘을 기록한다.

 

저자 소개 

유년시절을 보냈던 '청량리'는 작가의 예술관에 큰 영향을 주었다. 용산역, 노량진, 영등포역, 인천으로 이어지는 1호선은 생계를 위해 하루하루 살아가는 사람들의 물결로 이뤄져 있고, 청량리는 노동 시장 흐름의 상원 같은 곳이었다. 작가는 여자상업고등학교 졸업 학기부터 노동 시장에 투입된 경험으로 고졸 여성이 사회에서 겪는 실질적이고 구조적인 차별을 체감하였다. 삶에 따른 고된 노동의 얼굴에 주목하며 표현의 욕망과 관계의 윤리 사이에서 윤결은 로컬과 미술을 상호번역하는 예술가의 과제를 수행한다. 서울시립대학교 동대학원에서 환경조각학과를 전공했으며 주요 전시로는《무릎은 노랗고 빨갛게 시리다》(아트플러그 연수, 인천, 2022), 기획전《낯선 환호들》(아트랩반, 서울, 2021)과 단체전《따스한 재생》(강원국제트리엔날레, 분홍공장, 강원, 2021)이 있다. 

 

낯선 환호들: 각설이품바와 낮은 곳의 목소리

SKU: 364215376135191
₩27,000가격
수량
  • P. 4
    각설이는 과거에 장터나 길거리에서 노래를 부르며 동냥을 하던 사람을 일컫는다. 자연재해의 일종인 ‘서리’에서 온 말로 가난을 맞은 자를 부르던 데에서 연원한다. 이 책에 등장하는 각설이(singing beggar)는 거지의 모습으로 분하여 소리와 몸짓을 통해 재주를 선보이는 연행자로서 ‘각설이(패)’를 의미한다. 음악을 활용한다는 점에서 여타 유랑패와 유사하다. 사회적으로 낮은 곳에 있는 자들의 연대와 저항에 기반한다는 점에서는 구별된다.

    P. 4
    각설이 품바는 각설이의 모습으로 타령을 하면서 진행되는 공연의 형식, 또한 그러한 공연을 하는 행위자를 가리키는 단어로 이 책에서 사용된다. (단, 화자가 대담에서 이를 ‘품바’ 또는 ‘각설이’로 칭하는 경우 구술된 바 그대로 기록하였다.) ‘품바’는 본래 각설이 타령에서 후렴구로 사용되는 의성어이다. 입으로 흥을 돋구는 장단이라는 의미에서 조선 말기까지 ‘입장고’로 불린 기록이 있고, 걸인으로 행세하며 부정한 자에게 욕보이는 말을 한다는 의미로 ‘입장귀를 찧는다’라고도 이야기되었다. 오늘날에는 일반적으로 각설이패 행위자를 지칭하는 말로 사용된다.

    P. 23
    품바라는 이름을 둘러싼 복잡한 관계성에서 생겨나는 또 다른 질문은 ‘왜 각설이인가’이다. 그들은 왜 각설이로서 무대에 서는 것일까? 단순히 거지 복장의 기구한 인생사를 가진 인물로서 각설이가 소환되는 것만이 아니라고 나는 생각한다. 그들이 각설이가 되어 공연하는 이유는 그 존재로부터 불려 오는 기록되지 않은 서사와 관계가 있을 것이다.

    P. 147
    각설이 품바와 민속 사이에 흩어진 고리는 몸을 매개로 재회한다. 각설이 품바는 1990년대 이후 신자유주의적 문화경제에 편입되는 과정에서 새롭게 배치되었다. 지난 시대에는 민족주의와 계급에 대한 비판의식을 통해 자기를 인식했다면, 후기 산업화 시대로 진입하면서 보다 복합적인 문화 정체성을 지니게 된다.

    P. 201
    각설이 품바는 도심 외곽, 지역 오일장이나 소도시 공연 유수지 등에서 출몰하며 신명 나는 몸짓을 흔들면서 존재감을 드러낸다. 각설이 품바는 특유의 성애적인 야담을 거침없이 선보인다. 이들의 끈적한 눈빛과 과감한 표현은 몇몇 관람객에게 흥분과 열기를 전달하고, 어느새 관람객을 무대 안으로 개입하게 만든다.

    P. 297
    각설이 품바는 남성 퍼포머가 여장을 하거나 여성 퍼포머가 남장을 하는 등 성별을 넘나드는 복장을 보여준다는 점에서 드랙과 맞닿아 있다고 볼 수 있다. 드랙(drag)은 보통 지정성별이 여성인 사람이 남성 복장을 하거나(드랙킹) 반대로 지정성별이 남성인 사람이 여성 복장을 하고 공연하는 것(드랙퀸)을 뜻한다.

    ​상호  히스테리안  |  대표  강정아  |  통신판매신고번호  2024-서울마포-3477

    사업자번호  660-33-01565  |  서울특별시 마포구 신촌로 2길 19, 마포출판진흥센터 312호

    © SINCE 2018 Hysterian. All rights reserved.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