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한국 근대 초기 여성 담론의 생성과 변모

한국 근대 초기 여성 담론의 생성과 변모

김영민, 「한국 근대 초기 여성 담론의 생성과 변모(2)」『근대지식과 '조선-세계' 인식의 전환 』, 소명출판, 2019, 71쪽

저자 

제목

​역자

발행

​연도

연구자

역사

역사

분류

개념

​​관련 연구  

서평

신채호의 글쓰기는 근대를 사유하는 이중의 벽을 마주한다. 하나는 '역사'라는 서구 근대의 방법론이고, 다른 하나는 그 역사로부터 배제된 '조선'이라는 위치다. 그에게 민족은 상상 속 공동체이자, 동시에 역사 속 실재로 증명되어야 할 대상이었다. 소설은 부재한 민족을 창출하는 장르로, 역사는 그 민족의 기원을 입증하는 담론으로 작동한다. 신채호는 이 둘을 '전'이라는 서사 형식 안에서 엮어낸다. 근대는 단순히 시간의 전환이 아니라, 민족을 상상하고 발명해야만 비로소 '역사'로 진입할 수 있는 조건이었다.

생각노트

서구의 근대성 개념에 대한 탐색은 동아시아 근대성까지 이어진다. 특히 우리나라의 경우 구한말-일제식민기(특히 1920 전후) 사이 나타나는 사상공간에 관심이 많다. 우리나라 근대사의 탄생과 근대 역사 서술의 시작이 근대성 담론과 민족 담론이 함께 나타나며, 이것은 우리가 민족주의를 대면할 때 일방적인 판단을 내리기 어렵게 만든다. 즉, 우리가 인식하는 역사 서술의 시점에 이미 깊숙히 내재되어 있다.

​색인카드
How can we do better next time?

​연관 아카이브

© SINCE 2018 Hysterian. All rights reserved.

bottom of page